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공부76

⭐️ [영어 문법] 토익 문법 총정리 - RC에 나오는 문법 정리 22. 부사절 (2) 6. 이유 부사절 접속사 - because / as / since ~이기 때문에 ( + 같은 의미의 전치사 -> due to / owing to / because of / on account of ) - now that ~이니까 - in that ~라는 점에서 7. so that VS so ~ that - so that (=in other that) 부사절에 조동사가 나옵니다. ㄴ 뜻 : ~이기 위해 ~하다 ㄴ> ~ so that 주어 + 조동사 + 동사 + 목적어 : ~하기위해서 ~했다. + 확인하는 방법 (1) that절을 목적어로 해석 (2) that절에 조동사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확인 ex) He worked hard so that his family could live in comfort. -.. 2022. 7. 4.
⭐️ [영어 문법] 토익 문법 총정리 - RC에 나오는 문법 정리 21. 부사절 (1) 1. 부사절의 위치 (1) 주절 앞 - [ __________ + 완전한 문장], 완전한 문장 (부사절이 주절 앞에 오면 , 컴마를 붙여 줍니다.) (2) 주절 뒤 - ex) You can call me [if you have questions.] 2. Since 부사절 since : ~한 이래로 ㄴ 주절로 사용된 경우 : 현재완료시제 ㄴ since 부사절로 사용된 경우 : 과거시제 ex) My english has improved since i took this course. 3. 시간 부사절 접속사 시간 부사절 접속사는 현재 또는 현재완료 시제가 미래를 대신합니다. until ~할 때까지 (접속사/전치사) once ~하는 대로/일단 ~하면 (접속사/부사 2개 뜻) before ~하기 전에 (접속사/전.. 2022. 7. 1.
⭐️ [영어 문법] 토익 문법 총정리 - RC에 나오는 문법 정리 20. 명사절접속사 (3) 토익 RC 명사절접속사 출제 유형 유형 1) that 구별문제 (관계대명사 vs 명사절접속사) - 명사절 접속사 that ㄴ 판단근거 -> that 앞에 선행사 명사가 없습니다. ㄴ 적용문법 (1) 문장 전체에서 명사절 접속사 that절은 주어,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합니다. 1. (that 주어 + 동사1) + 동사2 2. 주어 + 동사 + (that 주어2 + 동사2) 3. 주어 + be동사 (that 주어2 + 동사2) (2) 뒤에 완전한 문장이 나옵니다. (3) 'that'이 이끄는 명사절은 전치사 다음의 목적어가 없습니다. - 관계대명사 that ㄴ판단근거 -> 앞에 선행사 명사가 나옵니다. ㄴ적용문법 (1) 명사 that 동사 ~. (주어가 비어있는 경우 that이 주어 역할) (2) 명사 th.. 2022. 6. 27.
⭐️ [영어 문법] 토익 문법 총정리 - RC에 나오는 문법 정리 19. 명사절접속사 (2) 6. IF 와 WHETHER - if 명사절일 경우 -> ~인지 아닌지 (목적어로 사용) 부사절일 경우 -> ~라면 (거품절로 사용) ex) if 주어 + 동사, 주어 + 동사 - whether 명사절일 경우 -> ~인지 아닌지 (목적어로 사용) 부사절일 경우 -> ~이건 아니건 (거품절로 사용) ex) whether 주어 + 동사, 주어 + 동사 (문장에 or / or not이 반드시 필요) - whether만 가능한 경우 ㄴ 주어자리 명사절 ㄴ to부정사 앞에서 to부정사와 함께 사용 ㄴ 전치사의 목적어자리 (전치사 뒤) - whether A or B (가능) / whether or not ~. (가능) - whether ~ or not (가능) / if ~ or not (불가능) - whether절.. 2022. 6. 25.
⭐️ [영어 문법] 토익 문법 총정리 - RC에 나오는 문법 정리 18. 명사절접속사 (1) 1. 명사절 [명사절접속사 + (주어) + 동사] => 명사처럼 주어나 목적어 또는 보어 자리에 옵니다. - 문장이나 절 앞에 명사절 접속사를 붙이면 '명사'역할을 하는 명사절이 됩니다. ㄴ 주어 역할 ex) When he comes is uncertain. ㄴ 목적어 역할 ex) I believe that i can fly. ㄴ be동사 뒤 ex) The question is who will do it. (보어로 사용됨) ㄴ전치사 뒤 ex) I am thinking about what he said. (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됨) 2. that절 + 완전한 문장 - that (~라는 것) -> 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때 that 생략 가능 합니다. - 동격의 that절 ㄴ 앞의 명사를 자세히 부연 설명하.. 2022. 6. 23.
⭐️ [영어 문법] 토익 문법 총정리 - RC에 나오는 문법 정리 17. 관계대명사.관계부사 1. 관계대명사 (1) 형태 (앞, 뒤 형태 확인하기) 선행사 주격 목적격 소유격 사람 who who(m) whose 소유격은 완전한 문장이 뒤에 옵니다. 사물 which which whose 사람/사물 that that whose (2) 생략 -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자유롭게 생략이 가능합니다. - 주격 관계대명사는 일 경우 동시에 생략이 가능합니다. - 관계대명사 주격 + 일반동사의 경우 -> ing 형태로 변환하여 축약이 가능하고 분사와 동일한 기능을 합니다. 2. 관계부사 (1) 문장구조 1) 관계부사 + 완전한 문장 2) 관계대명사 + 불완전한 문장 선행사 관계부사 시간명사 : 모든 시간 명사 when 장소명사 : place, building where 방법 : the way 만 가능 how ->.. 2022. 6. 21.
⭐️ [영어 문법] 토익 문법 총정리 - RC에 나오는 문법 정리 16. 접속사.전치사.부사 1. 접속사.전치사.부사의 차이 - 접속사 :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로 뒤에 문장이 옵니다. - 전치사 : 뒤에 문장이 오지 않습니다. 명사 형태가 뒤에 옵니다. (일반명사, 대명사, 동명사, if와 that을 제외한 명사구, 명사절) - 부사 : 수식하는 역할만 합니다. 2. 접속사 - 상관접속사 1) both A and B = A and B alike = A and B as well 2) either A or B 3) neither A nor B 4) not only A but (also) B = B as well as A 5) not A but B = B but not A 6) would rather A than B - 등위접속사 and '그리고' / but (=yet) '그러나' / or '혹은, .. 2022. 6. 16.
📚 [한능검 정리]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정리노트 (14) : 현대 🔑 현대 45~50번까지 5문제 출제 (정부수립과정, 개헌순서, 4.19혁명, 유신체제, 5.18광주민주화운동, 6월항쟁, 노태우 대북정책) ⭐️ 해방직후, 미군정 해방 전 총동부 정무총감 엔도는 당시 영향력 있던 조선건국동맹의 지도자 여운형에게 행정권을 이양 여운형이 조선건국동맹을 모체로 해서 만든 것이 조선건국준비위원회(1945.08.15) -> 치안대를 조직해서 해방 후 혼란스러운 사회의 질서유지활동 수행 / 해체 : 우익세력 탈퇴 -> 조선 인민 공화국 수립선포 -> 미군정이 조선 인민 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조선건국준비위원회 해체 해방 후 맥아더 장군의 포고문으로 38선 이남 조선영토 점령 / 대한민국정부수립 (1948.08) 전까지 3년동안 미군정 ⭐️ 대한민국정부수립과정 🎯 대한민국 정부.. 2022. 6. 2.
📚 [한능검 정리]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정리노트 (13) : 일제강점기 🧩 일제강점기는 년도순 키워드를 중심으로 암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 ⭐️ 1910년대 일제강점기(무단통치, 국내독립운동, 3.1운동, 국외독립운동) 🤬 일제의 무단통치 무단통치 - 군인출신 총독 임명, 중추원 설치, 헌병 경찰제 시행(즉결 처분권 행사), 조선 태형령 시행(1912, 한국인에게만 적용), 제 1차 조선교육령, 교사에게도 제복과 칼 착용 경제수탈 - 회사령 제정, 토지조사사업 (목적:재정확보 / 기간 안에 소유자가 직접 신고한 토지만 소유권 인정),농민의 관습적 경작권 부정, 일본에서 한국으로 농업이민 증가, 만주 등지로 이주하는 농민 증가 😇 1910년대 독립운동 - 국내 독립의군부 (1912-14) - 고종의 밀지를 받아, 임병찬, 총독부에게 국권반환요구서 제출 계획 대한광복회(1915.. 2022. 6. 1.
728x90
반응형